파이썬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리눅스(Linux) 운영체제에 기본 설치된 파이썬을 사용할 수도 있고, 순수하게 파이썬만 내려받고 가상환경을 구축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 그 중에 주피터 노트북(Jupyter Notebook)을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아나콘다(Anaconda)의 설치와 기본 테스트를 알아보고자 한다.
들어가며
앞서 말했지만, 파이썬을 다룰 수 있는 환경은 많다. 그 중에 아나콘다(Anaconda)의 주피터 노트북을 선택하는 이유는 데이터 분석이 파이썬 기반의 프로그램 개발 보다는 상대적으로 덜 복잡하다는 것이 있고, 환경 구성이 매우 간편하다. 얼마나 간편하냐면, 그냥 설치파일을 내려받아서 버튼을 누르다 보면 어느새 설치가 끝나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설치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제법 있기에 그 절차를 기술해본다.
참고로 필자의 pc 운영체제가 Windows10이기 때문에 이를 기준으로 기술하는 것을 참고바란다.
다운로드
검색엔진에 “anaconda install” 으로 검색하면 다음과 같으며, 되도록이면 구글에서 검색하고 영어로 입력하는 것을 권장한다.
검색 결과에서 최 상단 링크를 누르게 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각 홈페이지는 회사의 정책이나 제품 업데이트에 따라서 디자인이 언제든지 바뀔 수 있으니 당황하지 말고 영어를 천천히 읽어보도록 한다. 여기서 잘 보면 검은색 download 버튼이 있다. 해당 버튼을 누르면 아래로 내려가면서 다음 그림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각 운영체제에 맞는 다운로드 링크를 제공하고 있는데 본인이 Windows 운영체제를 사용하고 있다면 왼쪽 위에 있는 64-Bit Graphical Installer를 다운로드 받으면 된다. 혹시나 Windows10 이전의 운영체제를 사용하고 있다면 32-Bit 버전을 설치해야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Windows 버전 확인 문서를 확인하도록 하자.
설치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실행시켜 설치하도록 하자. 다음의 그림은 Windows용 64-Bit Graphical Installer를 다운받아 실행시킨후 처음으로 마주하게 되는 화면이다.
여기서 확인 버튼을 누르면 다음 화면이 뜬다.
이제부터 쭉 확인 또는 그에 준하는 버튼을 계속 눌러준다. 이상한 프로그램이 설치되거나 기존의 설정이 바뀌어 다른 프로그램을 못쓰게 되는 경우는 딱히 없으니 걱정말고 쭉 설치해준다.
설치를 마친 후 원하는 프로그램이 설치가 되었는지 확인해보자.
실행
윈도우 버튼을 누를 경우 위로 팝업이 뜨면서 다음과 같이 아나콘다 폴더와 그 하위 목록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를 찾기가 어려울 경우 윈도우 버튼을 누른 후 곧바로 컴퓨터에서 ‘j’ 또는 ‘ju’ 정도만 입력해도 아래와 같이 주피터 노트북이 바로 검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제 주피터 노트북 아이콘을 누르면 지정된 기본 웹 브라우저(Microsoft Edge, Windows Internet Explorer, Google Chrome 등)에 새로운 화면이 켜질 것이고 다음과 같다.
주피터 노트북을 켜면 웹 브라우저에 새로운 내용이 보이지만 그 이전에 별도의 창에 검은색 화면이 뜨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주피터 노트북을 사용한다면 이 창을 절대 끄면 안된다. 혹시나 끄게 되는 경우는 주피터 노트북 관련 창을 전부 껐다가 다시 주피터 노트북 아이콘을 눌러서 켜주기 바란다. 그리고 웹 브라우저에 새로운 창이 뜨지 않고 검은색 창만 뜨는 경우의 문제해결은 별도의 포스팅에서 다루니 확인하도록 하자.
주피터 노트북을 잘 활용하려면 되도록 크로미움 기반의 웹 브라우저(대표적으로 Google Chrome이 있다.)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는데 원하는 웹 브라우저 설치 후 기본 브라우저로 설정하는 것은 Microsoft의 공식 문서를 참고하도록 하자.
동작 테스트
아무래도 설치 이후에 파이썬이 제대로 실행되는지 확인해보아야 하겠다. 앞에서 확인한 주피터 노트북 첫 화면에서 다음과 같이 [new] 버튼과 [Python3] 버튼을 차례대로 눌러서 새 노트북 파일을 켠다.
앞의 절차를 올바르게 했다면 다음처럼 새 주피터 노트북이 새로운 웹 브라우저 탭에 열린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럼 이제 아주 간단한 코드를 실행해보자. 다음 그림과 같이 파란 네모의 안쪽 네모에 마우스로 클릭을 하여 ‘1 + 1’을 클릭하고 [Ctrl] + [Enter] 단축키를 누르거나 아래 그림의 우상단에 있는 ‘Run’ 버튼을 누르면 코드가 실행이 되어 결과값인 2가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참고로 주피터 노트북 화면이 조금 다르게 보일 수 있는데, 이는 주피터 노트북의 별도의 소스코드(CSS)를 수정하였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별도의 포스팅에서 다룰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