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통계-상관분석

R) 통계-상관분석

R을 활용하여 두 변수간의 선형관계. 즉, 선형성(linearity)을 알아보는 상관분석에 대해 알아보자.


Statistics

bike.csv 다운받기 [클릭]


개요

상관분석은 두 변수간 선형 관계(linear relationship, 직선적 관계)가 존재하는지, 존재하면 얼마나 강한지 알아보는 알아보는 분석 기법이다. 상관분석을 한다고 하면 보통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떠올린다. 하지만 피어슨 상관계수 말고도 어떤 속성의 자료간 비교가 이루어지는가에 따라서 알맞는 분석 기법을 선택해야 한다. 다음의 표를 참고하도록 하자.

Quantitiative Ordinal Nominal
Quantitiative Pearson's Biserial Point Biserial
Ordinal Biserial Spearman/Kendall Rank Biserial
Nominal Point Biserial Rank Biserial Phi, L, C Lambda

상관계수의 값에 따른 두 연속형 변수의 대략적인 분포는 다음과 같다. 모양이 직선에 가까울수록 1 또는 -1에 가까워짐을 알 수 있다.

상관계수 예시
※ 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Pearson_correlation_coefficient


Pearson’s Correlation

정식 명칭은 피어슨의 곱적률 상관(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은 두 변수의 선형 관계가 존재할 경우 그 관계가 얼마나 강한지 알 수 있는 값이며 두 변수가 연속형 양적 변수일 경우에 사용가능한 방법이다. 상관계수는 공분산으로 부터 유도되며, 이를 제곱하는 경우 단순선형회귀의 결정계수와 같다. 그리고 상관계수의 값 범위는 -1 에서 1사이 이며 부호가 양수인 경우 “양의 상관 관계” 음수인 경우 “음의 상관 관계” 라고 한다.

이론

피어슨 상관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r = \frac{COV(X, Y)}{\sigma_x \times \sigma_y} = \frac{\sum{(x_i - \bar{x})(y_i - \bar{y})}}{\sqrt{\sum{(x_i - \bar{x})^2}} \times \sqrt{\sum{(y_i - \bar{y})^2}}}$$

검정통계량 t는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t = \frac{r\sqrt{n - 2}}{\sqrt{1 - r^2}}$$

p-value는 $2 \times P(T>t)$로 계산하며 여기서 T는 자유도가 n – 2인 t 분포를 따른다.

가설

● 귀무가설($𝐻_0$): 두 변수간 선형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r = 0)
● 대립가설($𝐻_1$): 두 변수간 선형관계가 존재한다. (r ≠ 0)


Spearman’s Correlation

스피어만 상관분석은 두 변수가 순서형 변수일 경우에 사용가능한 방법이며 두 변수가 정규성을 따르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는 비모수적 방법이다. 상관계수는 각 변수의 순위를 매긴 후 그 순위의 차를 활용하여 계산한다. 그리고 상관계수의 값 범위는 -1 에서 1사이 이며 부호가 양수인 경우 “양의 상관 관계” 음수인 경우 “음의 상관 관계” 라고 한다.

이론

스피어만 상관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rho = 1 - \frac{6\sum{d_i ^2}}{n^3 - n}$$

검정통계량 t는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t = \frac{\rho\sqrt{n - 2}}{\sqrt{1 - \rho^2}}$$

가설

● 귀무가설($𝐻_0$): 두 변수간 선형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rho = 0)
● 대립가설($𝐻_1$): 두 변수간 선형관계가 존재한다. (rho ≠ 0)


Kendall Correlation

상관분석은 두 변수가 순서형 변수일 경우에 사용가능한 방법이며 두 변수가 정규성을 따르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는 비모수적 방법이다. 그리고 상관계수의 값 범위는 -1 에서 1사이 이며 부호가 양수인 경우 “양의 상관 관계” 음수인 경우 “음의 상관 관계” 라고 한다.

이론

켄달 상관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tau_A = \frac{n_c - n_d}{n_0}, \, \tau_B = \frac{n_c - n_d}{\sqrt{(n_0 - n_1)(n_0 - n_2)}}$$
$$ \begin{align} n_0 &= n(n - 1)/2\\ n_1 &= \sum{t_i(t_i - 1)/2}\\ n_2 &= \sum{u_j(u_j - 1)/2}\\ n_c &= Number\,of\,concordant\,pairs\\ n_d &= Number\,of\,discordant\,pairs\\ t_i &= Number\,of\,tied\,values\,in\,the\,i^th\,group\,of\,ties\,for\,the\,first\,quantity\\ u_j &= Number\,of\,tied\,values\,in\,the\,j^th\,group\,of\,ties\,for\,the\,second\,quantity\\ \end{align} $$
$$\tau_C = \frac{2(n_c - n_d)}{n^2 \frac{m - 1}{m}}$$
$$ \begin{align} n_c &= Number\,of\,concordant\,pairs\\ n_d &= Number\,of\,discordant\,pairs\\ r &= Number\,of\,rows\\ c &= Number\,of\,columns\\ m &= min(r,c)\\ \end{align} $$

검정통계량 z는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z_A = \frac{3(n_c - n_d)}{\sqrt{n(n - 1)(2n + 5) / 2}}, \, z_B = \frac{n_c - n_d}{\sqrt{v }}$$
$$ \begin{align} v &= (v_0 - v_t - v_u)/18 + v_1 + v_2\\ v_0 &= n(n - 1)(2n + 5)\\ v_t &= \sum{t_i(t_i - 1)(2t_i + 5)}\\ v_u &= \sum{u_j(u_j - 1)(2u_j + 5)}\\ v_1 &= \sum{t_i(t_i - 1)}\sum{u_j(u_j - 1)/2n(n - 1)}\\ v_2 &= \sum{t_i(t_i - 1)(t_i - 2)}\sum{u_j(u_j - 1)(u_j - 2)}/(9n(n - 1)(n - 2))\\ \end{align} $$

가설

● 귀무가설($𝐻_0$): 두 변수간 선형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tau = 0)
● 대립가설($𝐻_1$): 두 변수간 선형관계가 존재한다. (tau ≠ 0)


실습

데이터 준비

“bike.csv” 데이터를 읽어오자
※ 포스팅 상단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1
2
3
4
5
df = read.csv("bike.csv")
head(df, 2)
## datetime season holiday workingday weather temp atemp humidity windspeed casual registered count
## 1 2011-01-01 00:00:00 1 0 0 1 9.84 14.395 81 0 3 13 16
## 2 2011-01-01 01:00:00 1 0 0 1 9.02 13.635 80 0 8 32 40

cor() 함수

간단하게 상관계수를 확인하려면 cor() 함수를 쓸 수 있다.

1
2
cor(df$temp, df$atemp)
## [1] 0.9849481

기온과 체감온도는 매우 높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계산되는 상관계수는 피어슨 상관계수이다. cor() 함수는 총 3개의 상관분석을 제공하는데 피어슨 상관계수가 기본값이며 “kendall” 또는 “spearman”을 method 인자에 할당하면 캔달 또는 스피어만 상관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순서형 데이터로 간주할 수 있는 weather 변수와 humidity 변수를 대상으로 순위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그 상관계수를 확인하는 코드는 다음과 같다.

1
2
3
4
5
cor(df$weather, df$humidity, method = "kendall")
## [1] 0.3240662

cor(df$weather, df$humidity, method = "spearman")
## [1] 0.3994922

그리고 여러 변수를 한 번에 넣게되면 상관계수 행렬을 산출해주며 이 결과를 활용하여 향후 상관계수행렬도(correlation coefficient plot)를 그리는데 활용할 수 있다.

1
2
3
4
5
cor(df[, c("temp", "atemp", "casual")])
## temp atemp casual
## temp 1.0000000 0.9849481 0.4670971
## atemp 0.9849481 1.0000000 0.4620665
## casual 0.4670971 0.4620665 1.0000000

cor.test() 함수

단순히 상관계수를 산출하는 것이 아닌 가설검정을 하여 제대로 p-value까지 확인하고싶다면 cor.test() 함수를 사용하면 된다.

1
cor.test(df$temp, df$atemp)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data:  df$temp and df$atemp
t = 594.48, df = 10884, p-value < 2.2e-16
alternative hypothesis: true correlation is not equal to 0
95 percent confidence interval:
0.9843763 0.9854992
sample estimates:
      cor 
0.9849481 

여기서 p-value가 2.2e-16으로 매우 작다. 이는 유의수준 5%로 검정할 경우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대립가설을 채택하여 산출된 피어슨 상관계수 0.9849481이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다.

피어슨 상관분석 이외에도 cor() 함수에서 사용했던 method 인자에 “kendall” 또는 “spearman”을 할당하면 캔달 또는 스피어만 상관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